• 고속도로 지날 때 보이는 ‘태양광 패널’ 어디에, 어떻게 쓰일까

    • [맘스타임즈, 함선아기자] ◆ 고속도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은 무엇일까요?
      민간사업자가 유휴부지에 발전시설 설치하고 부지 사용료를 납부하면 발전수익 일부를 취약계층에 지원하는 사업입니다!

      ◆ 고속도로 태양광 발전사업 현황은 어떻게 될까요?
      2012년 남해고속도로의 폐도를 시작으로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 시설 건설
      나들목·분기점의 녹지대, 비탈명 등 고속도로 주변 다른 유휴부지에도 태양광 발전소 설치

      현재 운영·건설 중인 태양광 발전 시설은 총 319곳으로 149MW규모
      1년간 195GWh의 전력 생산, 14만 명이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양

      ◆ 태양광 발전사업 수익 현황은 어떻게 될까요?
      2013~2020년까지 취약계층 및 태양광 시설 지원 총 11.6억원

      전문 수행기관을 통해 지원사업 진행
      도공 →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출연 → 수행기관(한국에너지재단)에 위탁

      ◆ 태양광 발전사업으로 취?계층을 얼마나 지원했을까요?
      2013~2020년까지 총 6.36억원 2,473가구 지원
      태양광 발전소 설치지역 취약계층에게 전기료 및 물품지원

      * 국민기초생활수급자, 저소득가구 등 해당 지자체 선정

      ◆ 태양광 발전사업으로 태양광 시설을 얼마나 지원했을까요?
      2017~2020년까지 총 5.24억원 지원
      복지시설 및 에너지 취약가구에 태양광 시설 지원

      ◆ 고속도로 연료전지 발전사업 현황은 어떻게 될까요?
      고속도로 유휴부지 중 발전소 부지 14개소(잠재용량 330MW) 발굴
      향후 발전 공기업 및 민간기업과 협업을 통해 사업 확대

      한국도로공사 → 울산 산청리에 위치한 약 6,000m2 규모 고속도로 유휴부지 제공
      한국동서발전 → 연료전지 8MW, 태양광 1MW 규모의 융복합 발전소 건설 2022년 하반기부터 운영 시작

      2025년까지 고속도로 운영 필요 전력의 100%를 태양광·연료전지 등 친환경 에너지로 생산하여 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탄소 중립을 실현하겠습니다.
    Copyrights ⓒ 맘스타임즈 & www.momstimes.co.kr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
  •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
         신문사소개  |   기사제보  |   광고문의  |  불편신고  |  개인정보 취급방침/이용약관  |  청소년보호정책  |  이메일무단수집거부
대표자명: 최영진 | 상호: 라이트형제 | 주소: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5길 93 더샵스타리버 102-530
신문등록번호: 서울, 아53473 | 사업자등록번호: 211-10-22791 | 발행인, 편집인, 청소년보호책임자: 최영진
전화번호: 02)547-7157 | 팩스번호: 02)547-7158 | 이메일: assa94@gmail.com
Copyright © 2021 맘스타임즈. All rights reserved.